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풍향고1회 유재석 모자, 캐리어 , 텀블러~등 아이템 안녕하세요~^^ 풍향고 1회에서는 유재석,황정민,지석진,양세찬이 베트남 하노이로 NO 예약 NO 어플로 여행을 떠나는 여정을 보여주는데 너무 재미있었어요. 여행 출발 전 공항에서 양세찬이 P 로고가 있는 모자를 선물해서 찾아봤어요.풍향고 P 모자  또 유재석이 사용하던 노란색 캐리어와 텀블러도 찾아봤어요~~  :)  첫번째로 팔라스 모자  :) P로고가 있지만 폴로 아님니다~~팔라스는 영국의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로,슈프림,반스처럼 콜라보를 통해 성장한 브랜드 더라구요.슈프림이 미국 동부의 감성이라면팔라스는 영국 런던의 축구 감성을 표현한다고^^;;뭔가 고급질 것 같은? 너낌 저만 있나요?실제로 팔라스 옷들은 축구 유니폼 스타일로 많이 나와있어요. 저지 소재나 레이싱팀의 저지 디자인을팔라스만의 해석으로 제.. 2024. 11. 25.
이영자 파김치! 나도 파김치 담근다 이영자 파김치 리뷰: 맛있고 간편한 레시피이영자 파김치는 최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김치 중 하나에요. 이영자 씨가 방송에서 소개하면서 더욱 유명해졌죠. 파김치는 아삭한 파와 매콤한 양념이 어우러져 정말 맛있답니다. 그럼 이 영자 파김치의 매력을 알아보도록 할게요.이영자 파김치란?이영자 파김치는 신선한 쪽파를 주재료로 하여 매콤한 고추장 양념으로 버무린 김치에요. 이 김치는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깊은 맛을 자랑해요. 특히, 쪽파의 아삭한 식감과 매운 양념이 조화를 이루어 밥과 함께 먹으면 정말 맛있답니다.  재료 소개이영자 파김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는 다음과 같아요:쪽파 1kg양파 1/4개배 1/8개생강 1/4톨새우젓 1/2 큰 술매실청 1.5 큰 술고춧가루 50ml이 재료들은 각.. 2024. 11. 19.
2024년 수능일 전국 날씨 + 옷차림 추천 + 수능 준비물 2024년 수능일 날씨 정보 및 옷차림 추천 실시간 날씨보기 바로가기 >>  서울날씨: 구름 많음기온: 약 17도습도: 69%바람: 2m/s강수 확률: 40%옷차림 추천: 기온이 17도 정도로 쌀쌀할 수 있으니, 가벼운 외투나 가디건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긴 바지와 함께 편안한 신발을 추천합니다.부산날씨: 맑음기온: 약 20도습도: 68%바람: 0m/s강수 확률: 20%옷차림 추천: 날씨가 맑고 기온이 20도에 달하므로, 가벼운 티셔츠나 블라우스에 얇은 자켓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편안한 신발도 필수입니다.대구날씨: 구름 많음기온: 약 19도습도: 64%바람: 4m/s강수 확률: 10%옷차림 추천: 기온이 19도 정도로 쌀쌀할 수 있으니, 긴팔 티셔츠에 가벼운 외투를 입는 것이 좋습니다. 바지는 편안한.. 2024. 11. 13.
민증 잃어버렸을 때 간단하고 빠르게 해결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민증(주민등록증)을 잃어버렸을 때 어떻게 빠르고 간단하게 재발급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민증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신분증이기 때문에, 분실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재발급 방법, 비용, 소요 시간 등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민증 재발급 신청 방법 민증을 잃어버렸을 때는 두 가지 방법으로 재발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온라인 신청과 직접 방문 신청입니다.온라인 신청신청 방법: 정부24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절차: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주민등록증 재발급 신청 메뉴를 선택합니다.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합니다.수령할 주민센터를 선택합니다.비용: 약 5,200원 (수수료 포함)처리.. 2024. 11. 12.
자녀학원비 연말정산 소득공제 해주세요! 어떻게 공제 받나요? 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 직장인이라면 매년 거치는 과정이죠? 연말정산에는 여러 공제 항목이 있습니다. 그 중 교육비 세액 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교육비 세액 공제 대상 본인: 근로자 본인이 지출한 교육비는 세액 공제 대상입니다. 한도 없이 세액 공제 대상 금액으로 전액 집계됩니다. 부양 가족: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등 기본 공제 대상자가 지출한 교육비도 세액 공제 대상입니다. 단,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직계 존속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부양 가족에 해당하는 경우 교육 과정에 따라 금액 한도가 달라집니다. 대학원생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장애인 (특수 교육비): 장애인이 받은 특수 교육비는 세액 공제 대상입니다. 이 경우에는 소득 제한이 없으며, 직계 존속인 경우에도 공제 대.. 2024. 2. 19.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지원 내역 기초생활수급자는 최저 생계소득 이하의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의 가구에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4분야의 생활비 지원이 있습니다. 2024년도에는 기초생활수급자 선정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분이 최소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떠한 정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정리해보았어요. 먼저 기초생활 수급자 생계급여가 중위소득 30%에서 2024년도에는 32%로 증가되면서 생계급여액이 대폭 인상 되었어요.. 세부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선정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이며, 최대 급여액은 4인 가구 기준 162만 289원에서 2024년 183만 3,572원(13.16%)으로, 1인 가구 기준 62만 3,368원에서 2024년 71만 3,1.. 2024. 2. 16.
2024년 적용 최저임금 시급 9,860원 최저임금제도란? -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 2024년 적용 최저임금 = 시급 9,860원 ☆ 2024년 1월 1일부터 최저임금이 시간급 9,860원으로 인상 → 일급 78,800원 (일 8시간 기준) → 월 환산액(월급) 2,060,740원 (주 40시간, 주당 유급주휴 8시간 포함) 입니다. ☆ 다만, 수습사용중인 자로서 수습사용한 날부터 3개월 이내인 자는 최저임금액의 10%를 감액할 수 있습니다 ☆ 매월 1회 이상 지급되는 임금이 최저임금에 산입되며, 2024년부터 매월 지급하는 상여금 및 식비·숙박비·교통비 등 근로자의 생활보조 또는 복리후생을 위한 성질.. 2024. 1. 10.
2024 사대보험 비용은? 4대 보험이란 무엇인지는 알고 계시죠? ​4대 보험은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가 제도로, 직원을 1명 이상 고용한 사업장이라면 가입해야 하는 보험입니다. ​ 4대 보험은 직원을 고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4대 보험 비용은 직원들의 급여에서 공제되는 비용과, 사업자의 일부 부담금이 있습니다. 각 보험의 종류에 따라 부담비율이 달라져요. 산재보험은 사업자가 100% 부담하지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사업자와 근로자가 절반씩 보험료를 납부합니다. 연금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 보험료는 매월 납부하고, 산재보험료는 1년에 1번만 납부를 하면 됩니다. ​ 사업자는 직원의 급여 지급 시 직원이 부담해야할 보험료를 공제한 후에 급여를.. 2024. 1. 8.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수급조건 자진 퇴사자가 실업급여 수급이 되는 조건들에 대해 세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통근 곤란 자발적 퇴사로 실업급여를 받는 조건 중 통근 곤란입니다. 회사가 위치를 옮긴 경우(이전) 다른 지역의 사업장으로 전근하게 된 경우 배우자나 부양해야 할 친족과 동거하기 위해 거주지를 이사한 경우 그 밖에 피할 수 없는 이유로 통근이 곤란한 경우 위에 대한 사유로 인해 통근 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정당한 이직사유에 해당되어 실업급여가 지급됩니다. 통상의 교통수단 : 대중교통(버스, 기차, 지하철 등) 또는 회사 출퇴근 차 통근 소요시간 : 거주지에서 근무지까지 소요되는 왕복 시간(도보, 환승, 승차 대기시간 포함) 회사에서 출퇴근차를 제공한다면, 자동차 시간으로 계산되어 왕복 시.. 2023. 12. 22.
투잡 사대보험/고용보험 오늘은 투잡러의 사대보험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보험 국민연금의 경우 두개 이상의 사업장에서 받고 있는 소득월액으로 기준소득월액을 결정합니다. 국민연금의 보험요율은 9%로 각각 4.5%씩 근로자와 사업주가 나눠 부담합니다. 2개 이상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각 사업장에서 계산된 기준소득월액을 기준으로 국민연금이 납부액이 산정됩니다. 하지만 기준소득월액의 최고액이 590만원으로 정해져 있어서 이를 초과하는 경우 각 사업장에서 받는 소득의 비율대로 안분하여 납부액이 계산됩니다. 조금 어려운 부분이므로 표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두 곳에서 받은 소득이 590만원 미만인 경우 기준소득월액 총 납부해야할 국민연금 근로자 부담 사업자 부담 회사1 200만원 200만원 X 9% = 18만원 18만원.. 2023.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