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사대보험 비용은?

by KM뉴스 2024. 1. 8.

 

4대 보험이란 무엇인지는 알고 계시죠?

​4대 보험은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가 제도로, 직원을 1명 이상 고용한 사업장이라면 가입해야 하는 보험입니다.

4대 보험은 직원을 고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4대 보험 비용은 직원들의 급여에서 공제되는 비용과, 사업자의 일부 부담금이 있습니다. 

각 보험의 종류에 따라 부담비율이 달라져요. 

산재보험은 사업자가 100% 부담하지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사업자와 근로자가 절반씩 보험료를 납부합니다.

연금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 보험료는 매월 납부하고, 산재보험료는 1년에 1번만 납부를 하면 됩니다.

사업자는 직원의 급여 지급 시 직원이 부담해야할 보험료를 공제한 후에 급여를 지급하는데요, ​

사업자는 4대 보험료를 납부할때 회사부담분과 함께 급여에서 공제한 근로자부담분을 함께 납부합니다.​ ​

매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사업장으로 보험료 고지서를 발송하는데요, 사업자는 고지된 보험료를 자동이체나 지로로 납부하면 됩니다.

각 보험별로 2024년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연금

 

✔️ 기준소득월액의 9%

✔️ 2023년과 동일

✔️ 사업자 부담 : 4.5%, 근로자 부담 : 4.5% ​

국민연금은 현재 소득의 9%지만 연금고갈 우려에 따라 요율은 두 자릿수로 올린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네요.

건강보험

 

✔️ 보수월액의 7.09%

✔️ 2023년과 동일

✔️ 사업자 부담 : 3.545%, 근로자 부담 : 3.545%

✔️ 장기요양보험료율: 0.9182% 로 인상 ​

고용보험

 

✔️ 고용보험료율은 1.8%

✔️ 2023년과 동일

✔️ 실업급여 : 근로자 부담 0.9%, 사업자 부담 0.9%

✔️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사업 : 사업자 부담 (0.25%~0.85%) ​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재해를 당한 근로자나 가족과 생활안정과 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의 부담을 덜어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

​국가가 사업자로부터 산재보험료를 거두고, 이 재원을 통해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에게 여러 보험급여를 지급합니다.

산재보험료율은 사업자가 100% 부담하며 사업장의 종류, 재해 발생의 위험성에 따라 업종별로 요율이 상이합니다.

24년 전체 사업의 평균 산재보험료율은 1.47%로 23년의 1.53% 대비 낮아졌습니다.

2024년위 사업종류별 산재보험료율은 아래와 같습니다.